You can edit almost every page by Creating an account. Otherwise, see the FAQ.

벨로루시의 러시아화

EverybodyWiki Bios & Wiki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벨로루시의 러시아화 (벨라루스어: Русіфікацыя Беларусі 또한 маскаліза́цыя) 이는 비러시아인을 러시아어와 문화로 전환시킨 후 벨로루시인의 동화를 통해 벨로루시인 사이에서 러시아의 국가적 정치적 우월성을 강화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과 조건입니다 [1].

1812년, 1912년, 2006년에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인 폴로츠크. 도시의 건축 기념물 파괴의 결과

러시아화 는 러시아 제국 시대에 시작된 정책으로, 소련 시대에 재개되어 친러시아 대통령 알렉산더 루카셴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정권 하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2].

연대기[편집]

  • 1772. 폴란드의 첫 번째 분할 이후 벨로루시 국토의 일부는 러시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황후 캐서린 2세는 합병된 영토의 모든 주지사가 문장, 법령 및 명령을 러시아어로만 작성해야 한다는 법령에 서명했습니다. 지역 주민들의 노예화도 시작되었습니다. 이전에 자유를 누렸던 벨로루시인 약 500,000명이 러시아 귀족의 농노가 되었습니다 [3] [4]
  • 1773. 년에 캐서린 2세 황후는 "지방 법원 설립에 관한" 또 다른 법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명령은 다시 한번 공식 행사에서 러시아어만 사용하도록 요구했습니다 [5]
  • 1787. 캐서린 2세는 러시아 정교회 총회 산하 출판사에서만 러시아 제국에서 종교 서적을 인쇄할 수 있다고 법령을 발표했습니다. 그 결과 그리스-가톨릭 인쇄업자의 활동도 금지되었습니다 [6]
  • 1794. 코스치우슈코의 반란 알렉산더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군대의 탄압을 받은 그는 보상으로 25,000명의 벨로루시 농노를 받았습니다 [7]
  • 1795. 러시아는 공식적으로 벨로루시 국가와 벨로루시 언어의 존재를 부인했습니다. 벨로루시 현지 정치인들의 대량 체포와 러시아 정치인들로의 교체가 시작되었습니다 [8]
  • 1831. 11월 봉기가 진압되었습니다. 러시아 제국의 내무부 장관인 표트르 벨류프는 "서부 영토의 러시아화 수단에 관한 특별 에세이"를 준비했습니다(러시아어: Очерк о средствах обрусения Западного к рая) [9]
재건 전후의 벨로루시 교회 중 하나
  • 1832. 벨로루시어와 문화를 선호하는 그리스 카톨릭 학교와 바실리아 학교가 대량 청산되었습니다. 러시아 정교회의 교육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었습니다 [10] · [11]
  • 1840. 니콜라스 황제 1세는 공식 문서에서 "벨로루시"(Беларусь) 및 "벨로루시인"(беларусы)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령을 발표했습니다. 국가 이름은 "북서부 영토"(러시아어: Северо-Западный край)로 명명되었습니다 [12]
  • 1852. 그리스 가톨릭 교회가 청산되면서 벨로루시 종교 문헌의 대량 파괴가 시작되었습니다. 따라서 조셉 세마슈코 주교는 벨로루시 교회에서 발견된 1,295권의 책이 소각되는 것을 직접 목격했습니다. 회고록에서 그는 자신의 명령에 따라 향후 3년 동안 벨로루시어로 된 책 2000권을 더 불태웠다고 자랑스럽게 보고합니다 [13] [14]
미하일 무라비요프
  • 1864. 벨로루시 인구에 대한 범죄로 유명한 미하일 무라비요프-빌렌스키 (1796-1866)가 "북서부 영토"의 총독이되었습니다. 그는 교육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으며 무라비요프 의 모토는 다음과 같습니다. "러시아 총검이 완료하지 못한 것은 러시아 학교와 교회가 완료할 것입니다." [15] [16] [17] [11] [18]
  • 1900. 러시아 제국 교육부는 모든 학교에 다음과 같은 임무를 설정했습니다. "다양한 국적의 아이들은 순전히 러시아식 교육을 받아야 하며 러시아 국가와의 완전한 합병을 준비해야 합니다." [19]
  • 1914. 벨로루시 국민은 러시아 제국의 많은 민족을 나열한 제1차 러시아 공교육 회의 결의안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며, 이들의 자녀는 자국어로 교육을 받았습니다. 일반적으로 그의 벨로루시 통치 기간 동안 러시아 당국은 단일 벨로루시 학교 개교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20]
  • 1929. "벨라루스화" 정책의 종료, 대규모 정치적 탄압의 시작 [21] [22]
  • 1930. 소련에서는 "종교와의 싸움"을 가장하여 독특한 건축 기념물의 대량 파괴가 시작됩니다. 소련 정부의 명령에 따라 비테브스크, 오르샤, 폴로츠크의 고대 수도원이 파괴되었습니다 [23][24] [25]
  • 1937. 소련 정부의 명령에 따라 당시 벨로루시 지식인의 모든 대표가 총에 맞았고 그들의 유해는 쿠로파티 지역 영토에 묻혔습니다 [26]
  • 1942. 벨로루시 문학의 고전인 양카 쿠팔라 가 모스크바에 있는 동안 소련 비밀 기관에 의해 살해되었습니다.
  • 1948. 민족 해방 운동가인 올레시아 퍼스(Alesya Furs)는 벨로루시 국가 상징인 "파호니아 "파호니아"를 전시한 혐의로 징역 25년을 선고받았습니다 [27]
소련 당국에 의해 파괴된 벨로루시의 독특한 성 중 하나
  • 1960. 위대한 애국 전쟁 이후 국가 도시의 복원 및 재건을 위한 기본 계획을 가장하여 건축 기념물의 파괴가 계속되었습니다. 벨로루시인들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건축 유산 측면에서 가장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28]
  • 1995.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가 집권 한 후 벨로루시의 국가 상징 인 흰색-빨간색-흰색 깃발과 역사적인 문장 "파호니아"가 수정 된 소련 상징으로 대체되었고 국가도 대체되었습니다. 또한, 러시아어는 제2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습니다(러시아어는 모든 교육 기관과 미디어에서 사용됩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벨로루시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29].

문학[편집]

  • Мікуліч Т. Мова і этнічная самасвядомасць. — 틀:Менск (Мінск): Навука і тэхніка, 1996. — 159 с.
  • Самусік, А. Ф. Русіфікацыя сістэмы асветы на беларускіх землях у апошняй трэці XVIII — другой палове ХІХ ст. // Гістарычны альманах. Т. 14. Гродна-Беласток, 2008. С. 48-93.
  • Станкевіч Я. Зь гісторыі русыфікацыі Вялікалітвы. — Нью-Ёрк: Крывіцкае (Вялікалітоўскае) Навуковае Таварыства Пранціша Скарыны, 1967. — 44 с.
  • Калита И. В. Современная Беларусь: языки и национальная идентичность. — Ústí nad Labem, 2010. — 300 s. 모듈:Citation/CS1/styles.css 문서에 내용이 없습니다.스크립트 오류: "Catalog lookup link" 모듈이 없습니다.스크립트 오류: "check isxn" 모듈이 없습니다.. [1]

각주[편집]

This article "벨로루시의 러시아화"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벨로루시의 러시아화.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1. Лыч Л. Русіфікацыя // 틀:Літаратура/Беларусь: энцыкляпэдычны даведнік, 1995 С. 630.
  2. Дашкевіч З. «Беларусь паўстала, і цяпер беларусы самі пад акупацыяй», Новы час, 25 лютага 2022 г.
  3. 틀:Літаратура/Краіна Беларусь. Вялікае Княства Літоўскае (2012) С. 330.
  4. 틀:Літаратура/Гістарычны шлях беларускай нацыі і дзяржавы С. 39.
  5. Дакументы і матэрыялы па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Т. 2. — Менск, 1940.
  6. Філатава А. Нацыянальнае пытанне і палітыка царскага ўраду ў Беларусі (канец XVIII — першая палова ХIХ ст.) // Беларускі Гістарычны Агляд. Т. 7, Сш. 1, 2000.
  7. Швед В. Эвалюцыя расейскай урадавай палітыкі адносна земляў Беларусі (1772—1863 г.) // Гістарычны Альманах. Том 7, 2002.
  8. Крыжаноўскі М. Жывая крыніца ты, родная мова // Народная Воля. № 65—66, 1 траўня 2008 г.
  9. Арлоў У. Як беларусы змагаліся супраць расейскага панавання? // 틀:Літаратура/100 пытаньняў і адказаў з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С. 51—52.
  10. Арлоў У. Дзесяць вякоў беларускай гісторыі (862―1918): Падзеі. Даты. Ілюстрацыі. / У. Арлоў, Г. Сагановіч. ― Вільня: «Наша Будучыня», 1999.
  11. 11.0 11.1 틀:Літаратура/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С. 237.
  12. 틀:Літаратура/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С. 228.
  13. Калубовіч А. Мова ў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кага пісьменства. Клыўлэнд, 1978. [2]
  14. 틀:Літаратура/Дзесяць вякоў беларускай гісторыі (1997)
  15. 틀:Літаратура/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С. 257.
  16. У менскім праваслаўным храме маліліся за Мураўёва-вешальніка — упершыню за сто гадоў, Радыё Свабода, 23 лістапада 2016 г.
  17. 틀:Літаратура/Гістарыяграфія гісторыі Беларусі С. 133.
  18. 틀:Літаратура/Гісторыя Беларусі (у кантэксьце сусьветных цывілізацыяў) С. 291.
  19. 틀:Літаратура/Краіна Беларусь. Вялікае Княства Літоўскае (2012) С. 327.
  20. 틀:Літаратура/Русіфікацыя: царская, савецкая, прэзыдэнцкая (2010) С. 19.
  21. Катлярчук А. Прадмова да «літоўскага» нумару // Arche № 9, 2009.
  22. 틀:Літаратура/Даведнік Маракова
  23. Пацюпа Ю. Занядбаная старонка правапісу: прапановы пісаньня прыназоўніка у/ў перад словамі, што пачынаюцца з галоснай // Arche. № 6 (29), 2003.
  24. Бекус Н. Тэрапія альтэрнатывай, або Беларусь, уяўленая інакш // Arche. № 2 (31), 2004.
  25. Клімчук Ф. Старадаўняя пісьменнасць і палескія гаворкі // Беларуская лінгвістыка. Вып. 50., 2001. С. 19—24.
  26. Нельга забі(ы)ць
  27. Памерла беларуская патрыётка Алеся Фурс. У маладосці яна атрымала 25 гадоў лагера за "Пагоню"281
  28. Касперович Л. Местные бабушки плакали: "Оставьте нам церковь". Деревянные храмы Беларуси, которые нужно увидеть, TUT.BY, 12 сакавіка 2018 г.
  29. 틀:Літаратура/Дзевяноста пяты (2015) С. 10.


Read or create/edit this page in another language[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