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즈아
가즈아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Message box/localize' not found.틀:IPA-all)는 도박이나 투자에서 긍정적인 기대를 표현하는 감탄사이다. "가자"를 길게 발음한 것이며 과거 스포츠 도박 같은 것을 하는 사람들이 쓰던 말이다. 그러나 요즘에는 대중화되어 어떤 일에 대한 열망을 표현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1](가령 금메달 가즈아!, 합격 가즈아! 등등) 그리고 2017년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투자•매매 활성화에 즈음하여 자기가 투자한 암호화폐의 가치 상승을 염원하는 의미에서 디시인사이드 내 '비트코인 갤러리'를 중심으로 이 단어가 유행하게 되었다.[2]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쓰이며 "한강 가즈아"라고 하는 경우 투자한 비트코인의 가격이 떨어졌음을 의미한다.[3]
국민의당 안철수가 매실주스를 들고 건배사로 "국민의당 가즈아!"를 외친 일이 있다.[4] 대한민국 외의 국가에도 알려져 있는 유행어이며,[5] 알트코인의 하나인 트론 개발자 저스틴 선(Justin Sun)도 트위터로 "가즈아(Gazua)"라는 단어를 사용한 바 있다.[6] 심지어 유튜버 중에서도 이런 말을 쓰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한편으로 투자에 실패한 투자자가 한강에서 자살을 많이 한다는 점에서 착안해 "한강 가즈아"라는 활용형도 존재한다.[7] 가즈아라는 명칭의 한강의 수온을 알려 주는 모바일 앱도 출시되기까지 했다.[8]
유사 신조어[편집]
가즈아 이외에도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유행한 은어들이 몇 가지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7][9]
- 존버 : 존나 버티기 라는 뜻이다.
- 떡상/떡락 : 각각 비트코인 가격이 급상승하고 급폭락하는 장세를 의미한다.
- 층 : 투자자가 매입한 암호화폐 가격의 단위. 가령 2,400원에 암호화폐를 매입하였을 경우 아파트에 입주하듯 "2,400층에 입주" 하였다고 표현한다. 한편으로 높은 '층'에 들어간 투자자들이 폭락장으로 손해를 보았을 때, 그 손해를 메꾸기까지 언제까지 '존버'해야 하냐는 의미에서 구조대라는 표현도 사용한다. '4000층 구조대 언제 오느냐' 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코린이 : '코(인)' + '(어)린이'의 합성어로, 암호화폐 투자에 늦게 뛰어들었다 손해를 본 초보 투자자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 구조대 : 각 층에 물려있는 시체되기 직전 코린이(투자자)들을 구출해주러 가는 다수의 익명 구매단을 뜻한다.
- 시체 : 각 층에 물려있는 투자자로 구조대가 해당 층까지 구출하러가는 순간 바로 매도를 하여 구조대의 힘을 약화시키는 죽은 투자자 (투자할 마음이 사라진)를 일컫는다.
같이 보기[편집]
- 투더문 : 영어 To The Moon을 발음 한 것으로, 달까지 가는 것 처럼 가격이 치솟는 것을 의미한다. 떡상과도 같은 의미로 쓰인다. 반대말) 투더헬, 개지옥
- 파이팅 (화이팅)
각주[편집]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7.0 7.1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2049163&code=61121111&cp=nv
This article "가즈아"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가즈아.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This page exists already on Wikip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