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edit almost every page by Creating an account. Otherwise, see the FAQ.

김덕지

EverybodyWiki Bios & Wiki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김덕지
金德摯
지위
신라의 왕자
이름
이칭 범공
별호 학성부원군
신상정보
출생일 생년 미상
출생지 신라 서라벌
사망일 몰년 미상
사망지 고려 개골산·해인사(?)
왕조 신라
가문 울산
부친 경순왕
모친 죽방부인[1]
기타 친인척 마의태자(형)
종교 불교

김덕지(金德摯)는 신라 제56대 경순왕왕자이다.

개요[편집]

《증보문헌비고》와 《조선씨족통보》등의 문헌에 의하면 김덕지는 신라 경순왕 김부의 왕자로, 학성(鶴城) 일대를 식읍으로 받고 학성부원군(鶴城府院君)에 봉작되어 울산 김씨의 시조가 되었는데, 학성(鶴城)은 울산의 별호라 하였다.

사기(史記)에 의하면 935년(경순왕 9) 10월 경순왕고려신라의 천년사직을 양국하려 하자 그 불가함을 극력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부인과 자식을 버리고 태자와 함께 개골산으로 들어갔다고 한다.[2] [3]

이후 화엄종에 귀의하여 승려가 되어 법수사와 해인사에 드나들며 망국의 한을 달랬는데 승명은 범공(梵空)이라 한다.[4] [5] [6]

김덕지왕자의 신분으로 경순왕이 신라의 천년 사직을 고려 태조에 양국하려 할 때 불가함을 극력 간하는 등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형 마의태자와 함께 마지막까지 절조를 지켰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받고 있다.[7]

14세 김환(金環)이 고려 시대에 삼중대광 광록대부에 이르고, 학성군(鶴城君)에 봉해짐에 따라, 후손들이 본관을 울산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8]

관련 문헌[편집]

  • 동국여지승람》 : 사서에 이름이 전하지 않는 왕자가 있었는데, 그도 왕에게 항복하지 말 것을 극력 간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으매 처자를 버리고 형 태자와 함께 개골산으로 들어갔다.
  • 증보문헌비고》 : 신라 경순왕 김부가 고려에 항복할 때에 한 왕자가 힘써 간하여도 따르지 아니하니, 왕자는 슬피 울며 왕에게 하직하고 곧 개골산에 들어가 생을 마쳤다고 하였는데, 사기에는 그 이름이 누락되었으니 어찌 범공이 아니겠습니까?”라 하였다.[10]
  • 《해인사지》 : 신라가 망하자 경순왕의 막내아들 김덕지가 중이 되어 법수사에 들어가 이곳 해인사에도 드나들면서 여생을 보냈다고 하였다.[11]

후세 평가[편집]

나라가 위기에 처하자 마지막까지 절조를 지킨 그의 행동은 조선조에 들어와 유교적 대의 명분론에 비추어 재조명되고 칭찬받았다.

  • 《동사찬요》 : 왕자신라고려에 양국 하는 것에 반대하며 개골산에 들어간 것에 대해 "왕자의 의열은 중국 촉한 멸망 시 북지왕 유심(劉諶)과 더불어 일월의 빛을 다툴 만한데, 이름이 동방의 문헌에 매몰되어 전하지 않으니 애석하다"고 하였다.[12]
  • 동사강목》 : “그 왕자가 없었더라면 천년 군자의 나라가 마침내 남의 비웃음이 되었을 것이니 그 간책을 빛나게 한 것이, 어찌 한때 남면하여 임금 노릇한 영광과 비교되겠는가?” 하였다.[13]

야사[편집]

  • 동고사(東固寺) 전설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 소재 동고사에 신라 경순왕의 둘째 아들 덕지 왕자가 범공이란 이름의 스님이 되어 도를 닦으며 부왕과 어머니, 마의태자 등 5인의 상을 목각으로 조성하여 이 절에 봉안했다. 그리하여 「김부대왕절」, 「진불대왕절」 이라 불렀다.[14]
  • 《김신대(金信臺)》 설화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율리에 전해져 오는 설화로, 신라 경순왕이 나라를 고려에 넘겨주자 경순왕의 둘째아들은 해인사에 들어가 범공이라는 승려가 된 뒤, 만년에 문수산 남쪽 자락 남암산에 들어와 암자를 짓고 살았는데 이 절의 이름이 '김신암'이다. 또 암자 근처에 ‘김신대라는 돈대를 만들어 망국의 한을 달랬는데 지금은 암자의 흔적과 왕자가 사용했다는 석조만 남아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15] [16]

주요 후손[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일설에 할머니라 한다.
  2. [1] [정복규의 성씨순례] 새전북신문 2013년 9월 24일
  3. 삼국사기》, 《신증동국여지승람》, 국사편찬위원회
  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덕지(金德摯
  5. 삼국유사》, 《증보문헌비고》, 《해인사지》, 국사편찬위원회
  6. [3] [대전 중구청 효월드] 울산김씨 시조 김덕지(金德摯
  7. [4] [정복규의 성씨순례] - 인촌과 울산김씨 익산신문 2010년 5월 31일
  8. [5] [장성 울산김씨 문정공 하서종가 / 필암서원] 남도일보 2020년 5월 21일
  9. 국사편찬위원회:[6] 《삼국유사》 권2 기이편
  10. 증보문헌비고》 씨족편 제43권 제계고
  11. [7] [相生의 땅 가야산] (34) - 나라 잃은 왕족들의 원한 매일신문 2008년 3월 3일
  12. 조선시대 문신 오운이 1606년에 저술한 역사서
  13. 조선후기 문신·실학자 안정복이 1756년~1778년 사이에 완성한 단군조선부터 고려 말까지를 다룬 통사적인 역사서
  14. [8] [대한민국 문화재청]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2호 동고사(東固寺)
  15. [9] [울산의 설화] 6. 무거와 김신암 울산매일 2014년 10월 8일
  16. 1786년(정조 10) 제작된 울산읍지(蔚山邑誌)에 “문수암(文殊庵) 남쪽 3리에 김신암(金信庵)이라는 절이 있는데, 신라왕의 소창(消暢)이라 한다.”고 하였는바 그때까지 절이 실존하였음을 알 수 있다.

외부 링크[편집]

분류:생몰년 미상 분류:신라의 왕족 분류:신라의 왕자 분류:신라의 귀족 분류:남북국시대 분류:통일신라 분류:경상북도 분류:고려의 승려


This article "김덕지"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김덕지.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Page kept on Wikipedia This page exists already on Wikipedia.


Read or create/edit this page in another language[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