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콘텐츠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Message box/localize' not found. 메타 콘텐츠는 코딩을 기반으로 텍스트, 이미지, 영상이 복합된 콘텐츠를 의미한다.[1] 타이핑으로 만들어진 텍스트(글) 콘텐츠, 사진 촬영 및 편집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콘텐츠, 영상 촬영 및 편집으로 만들어진 영상 콘텐츠의 한계를 넘어 코딩으로 만들어진 "더 높은, 초월한(meta[2])” 콘텐츠를 말하며, 코딩의 대중화에 따른 차세대 콘텐츠로 여겨진다.
마이크로 사이트, 미니 앱과 같은 형태를 가지지만 단순 기능적 웹사이트가 아닌 크리에이티브의 산물로서의 “콘텐츠” 개념으로 볼 수 있다.
개발자가 장난감(토이)을 갖고 놀 듯 남는 시간을 투자해 작업한 흥미 위주의 작은 프로젝트를 뜻하는 토이 프로젝트[3]로 만들어진 콘텐츠를 비롯하여, 심리테스트, 온라인 방탈출, 인터랙티브 아트, 온라인 전시, 비주얼 노벨, 미니게임 등이 메타 콘텐츠에 해당된다.
메타 콘텐츠의 배경[편집]
콘텐츠 시장은 기술, 기기의 발전과 대중화에 따라 글을 시작으로 이미지, 영상으로 다양화 되어왔다.
글을 쉽게 쓰고 공유할 수 있기에 블로그, 트위터 등의 플랫폼이 성행했고, 사진을 쉽게 찍고 편집할 수 있게 되어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등의 플랫폼이 성행했으며, 영상을 쉽게 찍고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유튜브, 틱톡 등의 플랫폼이 활성화되어왔다.
PC의 등장과 함께 글을 쉽게 쓰고 편집할 수 있기에 웹소설과 같은 텍스트 콘텐츠가 성행했고, 사진을 쉽게 찍고 편집할 수 있게 되어 카드뉴스, 웹툰 등 이미지 콘텐츠가 성행했으며, 영상을 쉽게 찍고 편집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웹드라마, 웹예능 등의 영상 콘텐츠가 활성화되어왔다.
제 3의 언어로 지칭되는 코딩이 대중화되며, 코딩으로 만들어진 흥미로운 콘텐츠들이 많아짐에 따라 단순히 기능적인 필요로 인해 만들어진 ‘웹사이트’와는 다른 지칭이 필요하게 되었다.
메타 콘텐츠의 대중화[편집]
2010년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초등 교육부터 코딩 교육을 의무화함에 따라 코딩이 대중화되어가고 있다. 그에 맞춰 다양한 노코드툴[4]이 등장했으며 마이크로사이트 형태의 간단한 재미, 정보를 주는 크리에이티브 산물로써의 메타 콘텐츠들이 많아지고 있다.
메타 콘텐츠 종류[편집]
- 심리테스트: MBTI, 성격 유형 기반의 질문지의 선택지에 따라 유형 결과가 달라지는 테스트
- 온라인 전시: 웹, 모바일 등의 온라인으로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는 콘텐츠로, 박물관 온라인 체험을 넘어 연예계 아이돌 사진 전시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 인터랙티브 아트: 상호 작용하는 예술로 마우스의 이동이나 클릭, 스크롤 정도에 따라 다르게 보여지는 작품이다.
- 비주얼 노벨: 컴퓨터 게임의 한 장르로 스토리 형식의 게임이며 선택지에 따라 내용의 흐름이 달라진다.
- 미니게임: 타임 킬링용으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모바일,pc 게임 등이 해당된다.
- 온라인 방탈출: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방탈출 콘텐츠
각주[편집]
This article "메타 콘텐츠"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메타 콘텐츠.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