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도시포럼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미래도시포럼》은 2020년 8월 1일 1회를 시작으로 (주)케이시크 땡기지에서 방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방송일자[편집]
- 2020년 8월 1일: <대전 미래도시포럼>이라는 제목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현황’의 주제로 1회차 방영
- 2020년 9월 4일: 특정지역에 국한되지 않게 <미래도시포럼>으로 변경, ‘자율주행자동차 정책’의 주제로 2회차 방영
- 2020년 9월 25일: ‘자율주행자동차 비즈니스모델’의 주제로 <미래도시포럼> 3회차 방영, <자율주행자동차 3부작> 끝
- 2020년 12월 18일: ‘지능형 미래도시를 위한 기술과 방향’을 주제로 4회차 방영
- 2021년 1월 20일: <유성구 희망토크, 포스트 코로나를 말하다>의 타이틀로 5회차 방영
- 2021년 2월 23일: <과학도시 대전 그랜드 디자인>을 주제로 6회차 방영
방송시간[편집]
-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시간
방송일자 | 방송시간 | 방송분량 |
2020년 8월 1일 | 토요일 16:00~18:00 | 2시간 |
2020년 9월 4일 | 금요일 16:00~18:00 | 2시간 |
2020년 9월 25일 | 금요일 16:00~17:30 | 1시간 30분 |
2020년 12월 18일 | 금요일 16:00~18:00 | 2시간 |
2021년 1월 20일 | 수요일 19:30~21:00 | 1시간 30분 |
2021년 2월 23일 | 화요일 19:00~21:00 | 2시간 |
3 방송포맷[편집]
⦁진행자 1인에 발제자와 토론패널로 구성된 현장 진행인원과 땡기지 접속을 통해 비대면 영상참여로 참가한 인원, 시청자들이 주제 관련 내용으로 소통하는 포럼 형식
⦁진행자의 진행 하에, 주제관련 발제를 마치고, 관련퀴즈 및 설문을 온라인 시청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참고하여 현장 패널들끼리 주제를 가지고 토론
⦁각 주제 관련 전문가 및 지역인사를 초빙하여 전문적이고 심도 깊은 내용으로 회의
⦁프로그램 진행 사이에 시청자들이 즐길 수 있는 퀴즈와 경품추첨 시간도 구성하여, 포럼에 참여하고 있는 시청자들에게 경품당첨의 기회도 제공
4 참여패널[편집]
방송회차 | 성명 | 소속(직책) |
1회 | 진행: 안기돈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발제: 한지형 | 오토노머스a2z 대표 | |
발제: 최정단 | ETRI 본부장 | |
패널: 조승래 | 국회의원 | |
패널: 문창용 | 대전광역시 과학산업국장 | |
2회 | 진행: 안기돈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발제: 김규옥 | 교통연구원 미래차 | |
발제: 조성우 | 자동차안전연구원 자율주행실장 | |
패널: 최수만 | 대전테크노파크 원장 | |
패널: 전희정 | 변호사 | |
3회 | 진행: 안기돈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발제: 남궁호 | 세종시 경제정책과장 | |
발제: 김영렬 | (주)케이시크 대표 | |
패널: 김수우 | (주)모닝엔터컴 대표 | |
패널: 이희택 | 세종포스트 국장 | |
4회 | 진행: 안기돈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발제: 이유철 | ETRI | |
발제: 김미라 | FIRSTBRAVE | |
발제: 이도헌 | KAIST 교수 | |
패널: 양중식 | (주)아이와즈 대표 | |
패널: 김영렬 | (사)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 수석부회장 | |
5회 | 진행: 안기돈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발제: 정용래 |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 | |
패널: 고경곤 | 대전마케팅공사 대표 | |
패널: 박종협 | 유성구 진잠동 주민자치회장 | |
6회 | 진행: 박정희 | 아나운서 |
발제: 김명수 | 대전광역시 과학부시장 | |
패널: 안기돈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
패널: 김혜진 | ETRI 책임연구원 | |
패널: 천영석 | (주)트위니 대표 |
각 회차별 주제와 발제내용[편집]
4-1 1회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현황>
- 발제1 ‘자율주행자동차, 어디까지왔나’ (발제자: 한지형 오토노머스a2z 대표)
- 발제2 ‘자율주행자동차가 가져올 도시 혁신’ (발제자: 최정단 ETRI 본부장)
4-2 2회 <자율주행자동차 정책>
- 발제1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 (발제자: 김규옥 교통연구원 )
- 발제2 ‘자율주행자동차 주요 정책 추진방향’ (발제자: 조성우 자동차안전연구원 자율주행실장)
4-3 3회 <자율주행자동차 비즈니스 모델>
- 발제1 ‘자율주행자동차 서비스 모델’ (발제자: 남궁호 세종시 경제정책과장)
- 발제2 ‘자율주행자동차 비즈니스 모델’ (발제자: 김영렬 (주)케이시크 대표)
4-4 4회 <지능형 미래도시를 위한 기술과 방향>
- 발제1 ‘AI & 헬스케어’ (발제자: 이도헌 KAIST 교수)
- 발제2 ‘비정형 환경 지능형 자율주행’ (발제자: 이유철 ETRI)
- 발제3 ‘FIRTSTBRAVE가 제공하는 EQain AI 저작권 관리시스템’ (발제자: 김미라 FIRSTBRAVE)
4-5 5회 <유성구 희망토크, 포스트코로나를 말하다>
- 발제1 ‘민생과 경제, 삶의 터전을 파괴하는 코로나-19’ (발제자: 정용래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
4-6 6회 <과학도시 대전 그랜드 디자인>
- 발제1 ‘과학으로 잘사는 도시 대전’ (발제자: 김명수 대전광역시 과학부시장)
프로그램 방향성[편집]
- 미래지향적인 주제로, 기술뿐만이 아니라 정책적 측면 등 미래도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든 분야를 소재로, 기업과 지역, 지역과 시민 등 다양한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상호소통 모색
- 설문코너를 통한 대중 인식과 선호도를 실시간 통계결과로 확인하여, 대중의 의견을 전달하는 매개역할
- 미래 정책·기술을 미리 내다보고, 정보공유와 더불어 정책·기술적 관심을 이끌어내는 역할
외부 링크[편집]
This article "미래도시포럼"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미래도시포럼.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This page exists already on Wikip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