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edit almost every page by Creating an account. Otherwise, see the FAQ.

민자역사

EverybodyWiki Bios & Wiki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Message box/localize' not found.

대표적인 민자역사인 서울역의 모습.

민자역사(民資驛舍)는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역사(驛舍)의 줄임말로서, 민간 기업 등의 자본이 투입되어 건설된 이후, 소유권을 국영기관으로 이전하되 임대형 민자사업으로 전환하여 일정 기간동안 위탁 운영되는 철도역을 일컫는 말이다. 대한민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개요[편집]

민자역사는 철도역을 신축하고 운영되는 데 소요되는 세금을 절감하면서, 동시에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의의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1982년 당시 철도청에서는 세금을 절감하는 목적 등으로 국유재산법을 개정하는 등의 규정 마련을 통해 민자역사를 전국 주요 역사에서 유치했다.[1] 민자역사는 1986년 서울특별시 영등포역 부지에 민자역사를 설립하는 '롯데역사 주식회사'가 설립되어,[2] 1987년 개장하여 부지와 건물은 국가가 소유하되 운영권을 민간 기업이 소유하는 형태로 가동되기 시작했다.[3] 이어 서울역에서도 서울 올림픽 유치 등을 이유로 민자역사가 1988년 개장해, 대한민국에서의 민자역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민자역사는 건설비를 절감하며 상권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여러 주요 역에서 시도되거나, 건설되어 영업 중에 있다. 지하역사의 상부 공개용지를 민자역사 건립부지로 사용하는 서현역홍대입구역 등의 사례가 있으며, 특히 홍대입구역은 상권시설을 비롯해 업무시설, 숙박시설 등이 최초로 설치되어 눈길을 끌기도 했다.[4] 최근에는 민자역사의 임대형 민자사업 사업 만기기한이 도달함에 따라 영등포역 민자역사 등의 재입찰을 두고 롯데, 신세계, 애경 등의 대기업이 경쟁을 벌이는 등 경제적인 이슈가 벌어지기도 했다.[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2.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3.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4.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5.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This article "민자역사"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민자역사.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Page kept on Wikipedia This page exists already on Wikipedia.


Read or create/edit this page in another language[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