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Message box/localize' not found.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Message box/localize' not found.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民主主義民族統一全國聯合) 또는 약칭 전국연합(全國聯合)은 1991년 12월에 결성하여 2007년까지 활동한 진보단체이자 대한민국의 정치단체이다.
역사[편집]
전국연합은 1989년 1월 결성된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이 내부 논쟁과 정권의 탄압으로 약화되자 여러 재야운동세력이 재결집해 만든 민족민주진영의 단체였다. 민주노총의 전신인 전국노동조합협의회(전노협), 전국농민회총연맹, 한총련의 전신인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등 14개 운동단체와 13개 지역운동단체 등이 포함돼 있다. 처음에는 12개 지역운동단체[1]이었는데 한총련 산하 경인총련의 하부 조직인 경기동부가 주축이 되어 경기동부연합이 설립되어 1990년대 중반 산하단체로 가입하였다.[2]
1991년 10월 22일 상설연합 준비위원회가 구성됐다. 고광석 전빈련 의장, 지선 전민련 공동의장, 윤정석 대구경북 추진위원회 대표가 준비위원장으로 선출됐다. 같은 해 12월 1일 연세대학교에서 각 운동 부문, 지역 대의원 및 시민 5천여 명이 창립 대의원대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대의원들은 강령 등을 확정했다. 창립 대의원대회는 고광석 전빈련 의장, 권종대 전농 의장, 지선 전민련 의장 등을 공동의장으로 선출했다.
1994년 범민련에 대한 입장 차이로 조직의 내부 분열이 시작된다. 문민정부가 대북 화해, 협력을 주장하자 문익환 목사는 북한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범민련을 해산하고 새로운 통일운동조직(민족회의)을 만들 것을 주장하였으나, 북한 정부의 강한 반발과 함께 한총련을 중심으로 한 범민련 사수파와 대립하게 된다.
이 대립은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정치세력화에 대한 입장차로 다시 불거진다. 1997년 6월 전국연합 대의원대회에서는 건설국민승리21에 참여하여 권영길 후보를 지지할 것을 결정하였으나, 범민련 노선을 지지하는 지역연합과 한총련 주류 등은 민주대연합론을 고수하면서 대의원 대회 방침을 거부하고 비판적 지지론(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후보 지지)으로 선회했다.
이후 이창복, 이인영 등이 전국연합을 이탈해 정치권으로 이동하면서 지도부가 붕괴되고, 전국연합에서 중하부에 있던 이들이 주요 간부로 올라서며 인적구성에 변화가 생긴다. 97년 이전의 전국연합은 전국적인 대중단체들의 연합이었지만, 그 이후는 사실상 자주, 민주, 통일을 기치로 한 민족 해방 계열운동의 전국조직으로 볼 수 있다.
1997년 이후[편집]
대통령 선거를 위해 창당한 임시적 정당이었던 건설국민승리21이 2000년 민주노동당으로 정식으로 창당할 때 전국연합은 공식적으로는 불참을 결정하였으나, 경기동부, 부산-울산, 광주전남 등 일부 지역연합 구성원들은 민주노동당 창당시부터 개별적으로 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조직을 만들어 활동하였다.
2001년 9월 전국연합은 '3년 안에 광범위한 민족민주전선과 민족민주정당을 건설하여 10년 안에 자주적 민주정부를 수립하고 연방통일조국을 건설하자.'는 취지의 특별결의문 (3년의 계획, 10년의 전망), 이른바 '군자산의 약속' 또는 '9월 테제(9월 방침)'를 채택하였고, 이 결의 이후 전국연합 소속의 인천연합, 전국농민회총연맹, 한총련 등 단체의 구성원들이 조직적으로 민주노동당 당원으로 가입하였다.
이에 민주노동당은 당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전국의 지역기반-조직이 공고해질 수 있었으나, 이 무렵 자주파 계열의 당원들이 증가하면서 창당 당시에는 부각되지 않았던 정파간 노선의 차이 및 이념적 지향을 둘러싼 논쟁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새로운 전선운동체인 한국진보연대로 개편되면서 2008년에 전국연합이 공식적으로 해산되지만 전국연합의 조직원들은 각 지역연합별로 그룹화 하여 민주노동당과 통합진보당에서 꾸준히 활동하였다. 통합진보당이 부정 경선과 폭력사건에 따른 분당사태, 내란음모 사건으로 인한 당 해산을 거치면서 현재는 방향을 달리하고 있다.
내부계파[편집]
2008년 전국연합의 공식 해체 이후 지역연합들도 실제로는 같이 해체되지만, 해체 이후에도 진보운동 안팎에서는 전국연합의 지역조직을 기준으로 정파분류를 해 오고 있다.
경기동부연합[편집]
경기동부연합(1997년 '성남연합'에서 개칭)은 외대 용인캠퍼스를 비롯한 경기 동남부 학생운동권 출신, 구성남의 재야운동가 등 실제 전국연합에 참가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들과 사상적, 인적 네트워크를 이룬 민족 해방계열 인사(특히 한총련, 한대련 등 학생운동 출신 등)들을 통틀어 지칭하는 표현이다. 이석기를 중심으로 한 민혁당 경기남부위원회 출신 인사들과의 연계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성남 구 시가지의 노동운동과 도시빈민운동을 기반으로 성장하였고, 1996년 북한동포돕기운동을 통해 조직력을 높였다. 2000년 이전부터 민주노동당에 결합하여 2006년 즈음에는 민주노동당의 당권을 쥐었으며, 2012년 7월 부정 경선 사건 이후 혁신 지도부가 구성되기 전까지 광주전남연합과 함께 '당권파'로 활동하였다.
관련 인물로는 이석기 전 의원, 김미희 전 의원, 정형주 전 민주노동당 경기도당 위원장, 이상규 전 의원, 김재연 전 의원이, 광주전남연합은 김선동 전 의원, 장원섭 전 통합진보당 사무총장, 오병윤 전 의원 등이 있다. 통합진보당 해산 이후 많은 인사들이 민중연합당을 구성하여 20대 총선에 출마하였으나 모두 낙선하였다. 이석기 사건에서 내란선동죄로 유죄를 선고받은 이석기와 김홍열은 엄밀히는 경기남부연합에 해당한다.
울산연합[편집]
울산연합은 현총련(현대그룹노동조합총연맹)을 비롯한 지역 노동운동에 결합하여 민주노동당 창당 전부터 지역 시의원, 구청장을 다수 배출했다. 경기동부연합과 마찬가지로 민주민족혁명당 영남위원회의 영향을 받았다.
통합진보당 출범 과정에서는 경기동부연합과 함께 국민참여당과의 합당에 찬성했다. 통합진보당 부정경선 이후 혁신 논쟁에서는 경기동부연합을 중심으로 한 구당권파와 혁신파 사이의 중간파적 입장을 취하였으나, 분당에는 참여하지 않고 경기동부연합과 함께 통합진보당에 잔류하였다. 울산연합은 부산연합과 함께 그룹을 형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요 인물로는 김창현 전 울산동구청장, 이영순 전 의원, 민병렬 전 통합진보당 최고위원(부산연합) 등이 있다.
통합진보당의 해산 이후 2015년 울산연합 출신 인사들은 '민주와 노동'이라는 조직을 결성하였고[3], 20대 총선에 윤종오(울산 북구), 김종훈(울산 동구)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인천연합[편집]
인천지역 노동운동을 기반으로 성장한 인천연합은 다소 늦은 2001년 이후 민주노동당에 결합하고, 이후에도 경기동부, 울산 두 곳과는 다소 다른 노선을 걷는다. 통합진보당 출범 과정에서는 당권파와는 달리 진보신당과의 우선적인 통합을 주장하였다. 부정경선 이후 혁신 논쟁에서도 과거의 과오(용산지구당사태 등)를 일부 반성하며 혁신파에 가담하였으나, 혁신이 좌절되고 통합진보당 폭력사건이 발생한 이후에는 진보정의당(현 정의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주요 인사로는 김성진 전 민주노동당 최고위원, 이정미 정의당 대표, 배진교 전 인천 남동구청장 등이 있다. 이정미는 20대 총선에 정의당 비례대표 1번 순위를 받아 출마하면서 "북한은 보편적인 민주주의와 인권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국가"이며, "북한의 3대 세습도 보편적 상식에서 볼 때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다.[4] 20대 총선에서는 3명의 후보가 정의당 후보로 나서, 그 중 이정미 후보가 당선됐다.
대전연합[편집]
앞서 경기동부연합,울산연합과는 달리 정치권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는 아니나 범 충청지역 NL계열 활동가들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민주주의 민족통일 전국연합이 한국진보연대로 재출범할 때 따라가지 않고 민중민주당의 전신인 코리아연대에 합류하였다. 2000년을 기점으로 전국연합 소속의 대부분의 정파가 민주노동당에 합류한 것과는 달리 정치권과 거리를 두며 활동하고 있다.
광주전남연합[편집]
광주전남연합은 민주주의 민족통일 전국연합 내에서 가장 먼저 출범한 단체이며 남총련에 뿌리를 두고 있다.1990년대 후반까지 경기동부연합,울산연합,인천연합을 비롯한 전국연합 주류가 제도권 진보정당 창당과 정계진출에 비판적이었던 것과는 달리 제도권 진보정당의 창당을 지지하며 건설국민승리21 창당에 합류하였다.
대표적인 광주전남연합 출신 인사로는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18.19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선동의원과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오병윤의원이 있다.경기동부연합,울산연합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인사가 통합진보당에 잔류하였으며 통합진보당 해산 이후 경기동부연합과 함께 민중연합당을 창당했다.
같이 읽기[편집]
참고 및 관련 문헌[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전국연합)결성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오픈아카이브
This article "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민주주의민족통일전국연합.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This page exists already on Wikip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