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edit almost every page by Creating an account. Otherwise, see the FAQ.

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

EverybodyWiki Bios & Wiki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

생물 분류생물 분류 읽는 법
계: 균계
문: 자낭균문
강: 동충하초강강
목: 맥각균목
과: 둥근꼬리선충과
속: 푸사리움속
종: Fusarium circinatum
학명
Pitch canker

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Pitch canker)Fusarium circinatum(F.subglutinans f. sp. pini)이라는 병원곰팡이에 의하여 발생하는 병이다.

세계적으로는 미국의 남부지역, 멕시코, 아이티, 남아프리카, 유럽의 포르투갈, 스페인, 일본의 오키나와 및 큐슈남부지역 등 아열대성 기후지역에서 30여종의 소나무류와 더글러스퍼에 누지성 가지마름 및 줄기마름병을 일으켜 커다란 피해를 주고 있다.[1]


분포[편집]

한국, 일본(오키나와, 큐슈 남부), 미국(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등 남부지역),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북서부, 스페인, 아이티, 칠레

국내에서의 피해[편집]

우리나라에는 1996년 인천지역 리기다소나무림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며, 현재는 강원도, 경상북도 동해안 지역 등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3년생의 어린 나무에서부터 직경 30㎝ 이상의 큰 나무까지 말라죽게 한다. 병원균의 병원성은 대단히 높으며, 피해가 심한 임지에서는 많은 나무가 일시에 고사한다. [2] 국내에서는 주로 외국에서 도입된 3엽송인 리기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테다소나무가 주된 기주로 알려져 있으며 자생 종이면서 2엽송인 해송도 피해가 보고되어 있다(윤 등, 2009). [3] 가뭄, 밀식 등으로 수세가 쇠약한 나무에서 많이 발생한다.[4]

병징 및 표징[편집]

소나무의 가지, 선단부, 줄기, 노출된 뿌리에서 수지가 흘러내려 목질부가 수지에 젖어 변색되어 있는데 이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의 전형적인 병징이다. 수지에 젖은 목질부는 푸사리움가지마름병과 다른 궤양병을 구별할 수 있는 유용한 특징이며, 가지에 생기는 궤양으로 인해 수관 윗부분의 썩음 증상이 나타나고, 순이나 가지가 이 균에 감염되면 엽침이 노란색에서 적갈색으로 변색된다.[5] 주로 1~2년생의 가지가 말라죽으며, 심한 경우에는 줄기까지 침입한다. 가지, 줄기, 구과의 감염부위로부터 송진이 흘러 하얗게 굳어져 있는 것이 전형적인 특징이며, 송진누출 윗부분은 갈색으로 말라 죽는다.

가지의 엽흔이나 구과표면에 분홍색의 균퇴가 형성된다. PDA배지에서 균사는 하얀색으로 자라다가 점점 색깔이 노랗게 변하거나 혹은 보라색으로 바뀐다.[6]


병원균의 침입[편집]

Fusarium circinatum은 기주의 상처를 통해서 침투하는데, 곤충, 바람 또는 가지치기 등의 작업 시 발생하는 상처가 감염의 주 통로이다.[3]

임업연구원 수목병리연구실의 연구에 의하면 중부 및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피해도 "심", "중", "경", "건전"으로 구분한 리기다소나무의 10년간 생장량은 1997년경 이전에는 피해도와 상관없는 각자 다른 생장 패턴을 보였으나, 1997년 이후에는 피해도의 순서대로, 즉 피해가 심한 나무일수록 생장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부 및 남부의 리기다소나무가 거의 비슷한 시기, 즉 1997년 경 병원균의 포자비산시기인 6~9월 사이에 병 발생지인 일본 오키나와로부터 강한 태풍에 의한 병원균의 이동과 함께 병원균의 침입장소가 되는 많은 상처가 나무에 발생하여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1]


생태 및 생활사[편집]

Fusarium circinatum은 유성 및 무성 생식 두가지 방법을 통해 재생산된다. 곰팡이는 무성 생식 동안 원생 동물을 사용하여 생식하며 나무 가지에 침투한다.

나무 껍질에 홈을 파며 홈 속에서 기생하다가 심할 경우 나무를 고사시킨다. 병원체는 공기 중의 접종원과 곤충, 유염된 도구 및 사람의 활동 등에 의해 분산되어 상처를 통해 다른 나무에 침투한다.[7]


방제[편집]

병든 가지는 발견 즉시 잘라서 소각한다. 기본적으로 과밀임분은 간벌을 실시하고 고사목이나 고사 가지를 제거한 다음 임내를 정리한다. 피해가 심하지 않은 임지는 간벌을 실시하여 산림을 건강하게 육성하며, 피해가 매우 심한 임지는 다른 나무를 심는다. 간벌목의 줄기는 이용가능하나, 병든 가지는 가능한 임외반출 후 소각 또는 파쇄한다. 양묘장에서는 베노밀·티람 수화제(benomyl 20%, thiram 20%) 등으로 종자소독을 한 후 파종하며, 공원 등의 조경목은 테부코나졸 유탁제(tebuconazole 25%)를 3월에 나무주사한다.


각주[편집]

  1. 1.0 1.1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2.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3. 3.0 3.1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4.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5.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6.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7.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This article "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소나무류 푸사리움가지마름병.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Read or create/edit this page in another language[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