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중소기업 기술로드맵)
스크립트 오류: "Unsubst" 모듈이 없습니다.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개요[편집]
정의 및 필요성[편집]
- (정의) 의료와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환자 사용자의 개인별 건강 상태를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건강정보 및 질병 상태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맞춤형 진료를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시스템
-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고령화 추세와 급증하는 의료비 부담에 대한 국가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 이로인해 스마트 헬스케어가 새로운 부가가치로 부상 중
범위 및 분류[편집]
가치사슬[편집]
의료산업 분야에 있어서 의료보럼, 발병예측 서비스, 의료기기 산업, 생활개선 서비스 등의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에서 활용가치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약 분야, 이상 시험, 원격 의료 모니터링, 개인별 맞춤형 치료와 같이 생애주기 전반을 관리해주는 서비스가 전방산업에 포함
분류 | 주요내용 |
---|---|
전방산업 | 의료, 헬스케어, 의료보험, 생활개선 서비스, 제약개발, 이상시험, 진단/예측/치료 모니터링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전 분야 |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 |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관련 기술의 활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체계 시스템 임상(의료)문서, 임상(의료)데이터,
전자처방전, FHIR등의 정보교환기술 유전자 데이터의 전송, 공유 기술 등 헬스케어 IoT 지원을 위한 통신 기술중 보안, 개인정보관리 관련 기술 |
후방산업 | 의/약학, 생명공학, 의용공학 등 소재, 기기 및 생물정보 관련 연구개발 및 산업, 스마트헬스케어 디바이스 분야 |
용도별 분류[편집]
분류 | 상세분류 | 설명 | 관련제품 및 용도 |
---|---|---|---|
하드웨어 | 제품/서비스 일체형, 단품 형태제품 | (개인건강관리기기) 건강관리를 위해 건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기기, 식약처 승인이 필요한 기기
(웨어러블 기기) 건강증진/개선을 위해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신호 측정과 모니터링을 하는 기기 |
게이트웨이 |
혈당, 혈압, 심전도, 활동량 측정 | |||
헤모글로빈 측정 | |||
체성분/체지방 측정 | |||
의료용 센서 삽입 스마트기기 | |||
현장검사 기기(POCT) | |||
밴드/ 목걸이형, 부착(패치)형, 인체삽입형 | |||
부품 | 부품, 장치, 시약 | 시약, 바이오센서 | |
저장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통신장치 | |||
소프트웨어 | 의료/건강관리 콘텐츠 | (건강정보 제공 App) 일반적 의학정보, 운동정보, 영양정보 등 건강정보 제공
(맞춤형 건강관리 App) 개인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제공 |
웰니스(휴식방법, 요가, 뷰티팁 등) App |
영양관리 및 정보 제공 App | |||
의학적 정보(약품, 질병, 복약등) 제공 App | |||
개인 건강기록(PHR) App | |||
병원기록 관리 App | |||
피트니스 또는 운동 관리 App | |||
미들웨어, 플랫폼 | (의료정보관리 플랫폼/DB) 의료기관 의료정보 통합 저장/관리 시스템
(개인 건강정보관리 플랫폼/DB) 건강/의료 정보 통합저장, 관리 |
의료정보관리 플랫폼(EMR, EHR) | |
개인 건강정보관리 플랫폼 | |||
기타 | |||
서비스 | 진단서비스 | (진단서비스) 유전자, 의료진단 서비스 | 체외진단 서비스 |
유전자/유전체 분석 서비스 | |||
건강관리 | (건강관리서비스) 하드웨어 기기의 건강정보 및 의료정보 분석, 건강관리 서비스
(원격의료서비스) 원격으로 행해지는 의료 서비스 및 진단 |
개인 건강검진 관리 서비스 | |
개인 건강기록(PHR) 관리 및 맞춤형 서비스 | |||
노인건강관리 서비스 | |||
건강관리 포털 서비스 | |||
원격상담,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
전략 제품 관련 동향[편집]
시장 현황 및 전망[편집]
- (세계) ‘18년 1,236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6.2%로 성장하여 ’24년 3,042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국내) ‘18년 약 185억 6,000만 원 규모에서 연평균 15.7%로 성장하여 ’24년 445억 2,000만 원 규모로 성장 전망
제품 산업 특징[편집]
- ICT 핵심기술[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등]의 기반 기술로 메디데이터 수집, 정재, 분석 및 기술 융합 활용에 제한적
- 스마트 헬스케어가 부상함에 따라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 등 기존 의료시스템 밖에 있었던 디지털 기술이 의료 분야에 빠르고 광범위하게 접목 중
정책 동향[편집]
- 복지부, ‘첨단의료기술 신속진입 평가트랙’을 포함하는 ‘첨단의료기술 별도평가 실행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2018년 하반기 시범사업 실시 예정 [2018.4]
- 과기정통부, 의료기기 R&D 범부처(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전주기 통합 사업으로 R&D 사업의 효율화 추진 [2018.4]
- 과기정통부,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17~2026)을 수립하여 헬스케어 산업과 바이오 연구 산업을 융합형 신산업으로 육성 및 의료 빅데이터 규제를 개선
기술 동향[편집]
- 국내 의료기관 및 기업체들이 정밀의료 서비스를 위해 기술개발을 추진 중
- EHR, PHR,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
- 글로벌 ICT 기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경쟁의 본격화로 헬스케어 분야에 우선적 도입과 적용이 진행중
핵심 플레이어[편집]
- (해외) Google, IBM, Apple, Epic Systems, Philips, Baidu, Quell, Zephyr
- (국내) 삼성전자, 씨젠, 뷰노, 루닛, 아산병원, 웰트
핵심요소기술[편집]
특허 분석을 통한, 요소기술, 기술수요와 각정 문헌을 기반으로 한 요소기술, 전문가 추천 요소기술을 종합하여 요소기술을 도출한 후, 핵심기술 선정위원회 평가과정 밑 검토/보완을 거쳐 핵심기술 확정
핵심기술 | 개요 |
---|---|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헬스 응용기술 | 정보제공 허용가능한 개인의 건강정보(혈압, 키, 몸무게, 맥박, 건강검진정보 등)를 바탕으로 헬스 이상 징후등 지속 트래킹하는 시스템 |
바이오 데이터 수집용 IoT 기술 | IoT기반 실시간 바이오정보 수집 |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위험상황 인지 기술 | 헬스정보 활용 및 주요 헬스 지수개발을 통한 Warningsign 기술 적용 |
개인용 헬스 디바이스 | 헤스 디바이스 개발 및 탑재를 통한 실시간 헬스 정보 수집 |
바이오 데이터 보호 기술 | 민감 건강정보 등의 보안 기술 개발 |
외부 링크[편집]
-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URL' not found.
This article "스마트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중소기업 기술로드맵)"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스마트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중소기업 기술로드맵).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