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edit almost every page by Creating an account. Otherwise, see the FAQ.

스마트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중소기업 기술로드맵)

EverybodyWiki Bios & Wiki

스크립트 오류: "Unsubst" 모듈이 없습니다.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개요[편집]

정의 및 필요성[편집]

  • (정의) 의료와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환자 사용자의 개인별 건강 상태를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고 건강정보 및 질병 상태등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맞춤형 진료를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시스템
  •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고령화 추세와 급증하는 의료비 부담에 대한 국가적 대응이 시급한 상황, 이로인해 스마트 헬스케어가 새로운 부가가치로 부상 중

범위 및 분류[편집]

가치사슬[편집]

의료산업 분야에 있어서 의료보럼, 발병예측 서비스, 의료기기 산업, 생활개선 서비스 등의 인간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에서 활용가치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

수집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제약 분야, 이상 시험, 원격 의료 모니터링, 개인별 맞춤형 치료와 같이 생애주기 전반을 관리해주는 서비스가 전방산업에 포함

분류 주요내용
전방산업 의료, 헬스케어, 의료보험, 생활개선 서비스, 제약개발, 이상시험, 진단/예측/치료 모니터링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전 분야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관련 기술의 활용을 위한 데이터 수집체계 시스템 임상(의료)문서, 임상(의료)데이터,

전자처방전, FHIR등의 정보교환기술 유전자 데이터의 전송, 공유 기술 등 헬스케어 IoT 지원을 위한 통신 기술중 보안, 개인정보관리 관련 기술

후방산업 의/약학, 생명공학, 의용공학 등 소재, 기기 및 생물정보 관련 연구개발 및 산업, 스마트헬스케어 디바이스 분야

용도별 분류[편집]

분류 상세분류 설명 관련제품 및 용도
하드웨어 제품/서비스 일체형, 단품 형태제품 (개인건강관리기기) 건강관리를 위해 건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의료)기기, 식약처 승인이 필요한 기기

(웨어러블 기기) 건강증진/개선을 위해 신체에 착용되어 생체신호 측정과 모니터링을 하는 기기

게이트웨이
혈당, 혈압, 심전도, 활동량 측정
헤모글로빈 측정
체성분/체지방 측정
의료용 센서 삽입 스마트기기
현장검사 기기(POCT)
밴드/ 목걸이형, 부착(패치)형, 인체삽입형
부품 부품, 장치, 시약 시약, 바이오센서
저장 및 디스플레이 장치
통신장치
소프트웨어 의료/건강관리 콘텐츠 (건강정보 제공 App) 일반적 의학정보, 운동정보, 영양정보 등 건강정보 제공

(맞춤형 건강관리 App) 개인 건강정보를 수집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제공

웰니스(휴식방법, 요가, 뷰티팁 등) App
영양관리 및 정보 제공 App
의학적 정보(약품, 질병, 복약등) 제공 App
개인 건강기록(PHR) App
병원기록 관리 App
피트니스 또는 운동 관리 App
미들웨어, 플랫폼 (의료정보관리 플랫폼/DB) 의료기관 의료정보 통합 저장/관리 시스템

(개인 건강정보관리 플랫폼/DB) 건강/의료 정보 통합저장, 관리

의료정보관리 플랫폼(EMR, EHR)
개인 건강정보관리 플랫폼
기타
서비스 진단서비스 (진단서비스) 유전자, 의료진단 서비스 체외진단 서비스
유전자/유전체 분석 서비스
건강관리 (건강관리서비스) 하드웨어 기기의 건강정보 및 의료정보 분석, 건강관리 서비스

(원격의료서비스) 원격으로 행해지는 의료 서비스 및 진단

개인 건강검진 관리 서비스
개인 건강기록(PHR) 관리 및 맞춤형 서비스
노인건강관리 서비스
건강관리 포털 서비스
원격상담,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전략 제품 관련 동향[편집]

시장 현황 및 전망[편집]

  • (세계) ‘18년 1,236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16.2%로 성장하여 ’24년 3,042억 달러 규모로 성장 전망
  • (국내) ‘18년 약 185억 6,000만 원 규모에서 연평균 15.7%로 성장하여 ’24년 445억 2,000만 원 규모로 성장 전망

제품 산업 특징[편집]

  • ICT 핵심기술[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등]의 기반 기술로 메디데이터 수집, 정재, 분석 및 기술 융합 활용에 제한적
  • 스마트 헬스케어가 부상함에 따라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클라우드 컴퓨팅 등 기존 의료시스템 밖에 있었던 디지털 기술이 의료 분야에 빠르고 광범위하게 접목 중

정책 동향[편집]

  • 복지부, ‘첨단의료기술 신속진입 평가트랙’을 포함하는 ‘첨단의료기술 별도평가 실행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2018년 하반기 시범사업 실시 예정 [2018.4]
  • 과기정통부, 의료기기 R&D 범부처(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전주기 통합 사업으로 R&D 사업의 효율화 추진 [2018.4]
  • 과기정통부,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17~2026)을 수립하여 헬스케어 산업과 바이오 연구 산업을 융합형 신산업으로 육성 및 의료 빅데이터 규제를 개선

기술 동향[편집]

  • 국내 의료기관 및 기업체들이 정밀의료 서비스를 위해 기술개발을 추진 중
  • EHR, PHR,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
  • 글로벌 ICT 기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경쟁의 본격화로 헬스케어 분야에 우선적 도입과 적용이 진행중

핵심 플레이어[편집]

  • (해외) Google, IBM, Apple, Epic Systems, Philips, Baidu, Quell, Zephyr
  • (국내) 삼성전자, 씨젠, 뷰노, 루닛, 아산병원, 웰트

핵심요소기술[편집]

특허 분석을 통한, 요소기술, 기술수요와 각정 문헌을 기반으로 한 요소기술, 전문가 추천 요소기술을 종합하여 요소기술을 도출한 후, 핵심기술 선정위원회 평가과정 밑 검토/보완을 거쳐 핵심기술 확정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 분야 핵심기술
핵심기술 개요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헬스 응용기술 정보제공 허용가능한 개인의 건강정보(혈압, 키, 몸무게, 맥박, 건강검진정보 등)를 바탕으로 헬스 이상 징후등 지속 트래킹하는 시스템
바이오 데이터 수집용 IoT 기술 IoT기반 실시간 바이오정보 수집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위험상황 인지 기술 헬스정보 활용 및 주요 헬스 지수개발을 통한 Warningsign 기술 적용
개인용 헬스 디바이스 헤스 디바이스 개발 및 탑재를 통한 실시간 헬스 정보 수집
바이오 데이터 보호 기술 민감 건강정보 등의 보안 기술 개발

외부 링크[편집]

  •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URL' not found.


분류:중소기업 기술로드맵


This article "스마트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중소기업 기술로드맵)"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스마트헬스케어를 위한 빅데이터 수집 시스템(중소기업 기술로드맵).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Read or create/edit this page in another language[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