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어 강세론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우크라이나어 강세론(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Langname/data' not found.: Акцентологія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은 우크라이나어의 격변화에 따른 강세 이동 규칙 뿐만 아니라 외래어 어미의 강세 이동을 규정하는 우크라이나어학의 하위 분야이다. 우크라이나어에서의 강세론은 소련의 언어학자 레오니드 블라코프스키가 정립하였다. 19세기 올렉산드르 포테브냐도 우크라이나어 강세에 대한 많은 자료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강세를 주로 연구하면서, 세르보크로아트어, 불가리아어의 강세에 대한 많은 자료를 제공했다.
여기서 강세론은 언어학의 한 분야로 언어의 강세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독일계 러시아인 러시아어학자 로만 브랜트이 처음으로 제안했고, 연구 측면에 따라 기술강세론, 이론강세론, 역사강세론, 비교역사강세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실 빈니츠키(Винницький В.), 안드리안 빌로슈탄(Білоштан Андріан), 타마라 브로프첸코(Бровченко Тамара) 등이 우크라이나어 기술강세론과 이론강세론에 기여했으며, 역사강세론에는 비탈리 스클랴렌코, 바실 자도로즈니, 이반 할추크 등이 기여했다.[1]
문법적 강세[편집]
강세의 이동[편집]
복수형으로만 사용되는 거의 모든 명사들은 변화 시에도 고정된 강세를 유지한다.[2] 복수형으로만 사용되는 명사의 대부분은 주격에서 어근에 강세가 있다.[3] 일부 명사는 생격과 조격에서는 어미에 강세가 오고, 여격과 처격에서는 어근에 강세가 온다.[2]
- гру́ди → груде́й, грудя́м (생격, 조격)
- гу́си → гусе́й, гуся́м(생격, 조격)
- діти → діте́й, дітя́м(생격, 조격)
- ку́ри → куре́й, куря́м(생격, 조격)
- лю́ди → люде́й, людя́м(생격, 조격)
복합 명사의 강세[편집]
접미사가 없는 파생어에서는 주로 접두사에 강세가 있다.[4] 접두사 пере-가 붙은 단어들은 접두사에도 강세가 올 수 있고, 어근에 강세가 올 수도 있다. 즉, 접두사에 강세가 오는 단어와 어근에 강세가 오는 단어가 있다.[5] 접두사와 접미사를 모두 가진 단어의 대부분은 어근에 강세가 있으나, 접두사나 접미사에 강세가 오는 소수의 단어들도 존재한다.[6]
일반적으로 합성어에서는 단어의 두 번째 어근에 강세가 붙는다.[7] -граф와 같은 일부 어근은 해당 어근의 모음에 강세가 오지 않고 이전 어근의 모음에 강세가 붙는다. 만약 각 형태소의 사전적 의미와 다른 새로운 의미가 창출될 경우에는 일반적인 복합 명사와 동등하게 두 번째 어근인 -граф의 모음에 강세가 붙는다.[8]
논리적 강세[편집]
여타 동부 슬라브어와 마찬 가지로, 우크라이나어는 논리적 강세를 가지고 있다.[9] 의문문에서 두드러지며, 감탄문에서는 이런 경향이 약하다.[10] 어떤 단어를 논리적 강세와 억양으로 강조하느냐에 따라 뉘앙스 뿐만 아니라 의미상으로도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어의 어느 부분에 강세를 부여하는지에 따라서도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пересуди는 되풀이, 반복을 의미하는 접두사 пере-와 논의를 뜻하는 суд가 합쳐진 파생어이다. 접두사에 강세를 줄 경우 공식적인 의미인 재심의 의미를 가지며, 어근에 강세를 줄 경우 비공식적인 의미인 뒷담화(뒤에서 얘기하다)의 의미를 가진다.
외래어의 강세[편집]
다음과 같은 남성 명사 외래어 어미는 강세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11]
- -áж, -áш, -éж, -áн, -áнт, -я́нт, -éнт, -мéнт, -áн, -я́н, -éн, -и́н, -óн, -у́н, -áй, -éй, -и́л, -і́л, -áм, -и́м, -у́м, -áт, -éт, -и́т, -óт, -у́т, -éст, -и́ст, -і́ст, -і́ф, -и́зм, -і́зм, -и́ск
각주[편집]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2.0 2.1 "При відмінюванні майже всі іменники, що вживаються тільки у множині, побутують з нерухомою акцентуацією. Ли- ше в деяких словах буває рухомий наголос"
- ↑ "Значна частина непохідних іменників, що вживається тіль- ки у множині, має кореневий наголос"
- ↑ Винницький В. М. 1984, 48쪽: "Префіксальні безсуфіксні утворення в основному виступа- ють з наголошеним префіксом"
- ↑ Винницький В. М. 1984, 48쪽: "Тільки іменники з префіксом пере- побутують як з префіксаль- ним, так і кореневим наголосом"
- ↑ Винницький В. М. 1984, 48쪽: "Більшість префіксально-суфіксальних утворень має не- рухомий кореневий наголос: відвідини, заручини, зливки, об- рубки, пожитки, у деяких з них наголошується префікс: висівки, вичавки, вишкребки, завидки, піжмурки, заздрощі, наручні, поминки, а в незначної кількості слів - суфікс: вродини, витребеньки, вихиляси, посиденьки, походеньки"
- ↑ Винницький В. М. 1984, 49쪽: "У складних іменниках (композитах) здебільшого наголо шується друга частина слова (основи)"
- ↑ Винницький В. М. 1984, 50쪽: "При наголошуванні композитних утворень спостеріга- ються й деякі закономірності. Ось, приміром, мають акценто- ваний сполучний голосний або кінцевий голосний першого компонента іменники з другою основою граф, що означають назви знарядь дії:"
- ↑ Л. Булаховський 1952, 236쪽:
- ↑ Л. Булаховський 1952, 236쪽: "Особливо сила логічного наголосу помітна в реченнях питайних, трохи мен- ша в реченнях окликових, коли одне із слів під- креслюється осібною інтонацією голосу, і в цім сло- ві наголошений склад вимовляється надто сильно."
- ↑ Л. Булаховський 1952, 248쪽: "§ 341. Ось ці закінчення чужих слів чоловічо- го роду приймають наголос на себе, звідки б сло- во не прийшло до нас: -аж, -аш, -еж, -ан, -ант, -янт, -ент, -мент, -ан, -ян, -ен, -ин, -он, -ун, -ай, -ей, -ил, -іл, -ам, им, -ум, -ат, ет, -ит, -от, -ут, -ест, ист, -іст, іф, изм, -ізм, иск. Сюди належать головним чином слова французькі, латинські, грецькі, турецько-татарські та інші."
참고 문헌[편집]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같이 보기[편집]
This article "우크라이나어 강세론"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우크라이나어 강세론.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