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edit almost every page by Creating an account. Otherwise, see the FAQ.

우크라이나의 농업

EverybodyWiki Bios & Wiki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우크라이나는 과거 소련의 구성국 중 하나로 소련 내에서 곡창지대로 기능해왔다. 현재는 경지 정리관개 시설의 정비가 완료되어 있으나 자금의 부족으로 대부분의 농지에서 경작 활동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국토의 80% 이상이 경작 가능 지역이며, 이 중 60%가 비옥한 흑토 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는 온화한 대륙성 기후를 갖고 있으며, 크름 지역은 부분적으로 지중해성 기후를 띄고 있기도 하다. 국토의 95%는 평지로 서부의 카르파티아 산맥과 크름 반도는 산악지대이다.

역사[편집]

카자크가 농업을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으나, 긴 복무 기간과 집산주의적 농업 형태는 이들이 일반적인 농부가 되는 데 불리한 조건을 형성했다. 따라서 러시아 제국은 카자크들이 거주하던 지역에 카자크가 아닌 민족을 이주시켜 농업을 대신하도록 했다.[1]

농노제의 폐지는 우크라이나 농업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2] 해방농노들이 땅을 사고 팔 수 있게 되면서 농업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체가 되었다.[3] 농지의 매각은 유럽내 미국산 밀의 유입으로 가격이 폭락한 1875년에서 1895년 잦아졌는데, 토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토지 가격도 상승했다. 1882년 소작인토지은행(Селянський поземельний банк)의 설립은 이를 더욱 부추겼다.[4] 은행은 땅을 사들여 이를 재판매했고,[5] 부유한 해방농노들에게만 융자를 제공했다.[6] 결과적으로 이는 새로운 형태의 공동체 경제를 형성하는 한편,[7] 땅을 잃은 해방농노들은 도시의 노동력을 공급하게 되었다.[8]

생산[편집]

우크라이나에서 생산되는 작물은 , 보리, 옥수수 등의 곡물과 해바라기, 사탕무, 유채 등의 산업 작물, 감자, 채소, 포도 등의 과수 등이 있다.

해바라기유[편집]

우크라이나는 세계 최대 해바라기유 생산국이다.[9] 줄기는 사료로 소비가 되고 가격에 비해 생산비가 낮아 수익성이 높은 작물이다. 봄에 파종하고 가을에 수확한다. 해바라기는 뿌리가 깊게 내리기 때문에 다른 작물보다 토양의 수분 및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하여 지력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정부는 토양의 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해바라기 재배 면적을 제한하고 헥타르 당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바라기 생산지역은 남부 및 동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농업 회사 카길의 공장과 함께 드니프로, 헤르손, 도네츠크에 해바라기유 제조 공장이 위치한다.[10]

[편집]

주로 제빵용으로 사용되는 경질밀을 생산하며 가을에 파종 후 다음 해 여름에 추수하는 겨울밀이 밀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11] 이때 생산되는 밀은 사료용으로도 공급된다.[12] 인도네시아, 이집트, 필리핀, 모로코, 튀니지 등 국가로 수출된다.[13]

옥수수[편집]

대부분의 옥수수의 절반 이상은 사료용으로 소비된다. 나머지는 식량으로도 이용된다. 주 생산지역은 동부남부 지역이다. 최남단 지역은 옥수수 재배에 충분한 강우량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봄에 파종하여 수확은 가을에 끝낸다. 옥수수는 러시아와 벨라루스로 수출되나,[14] 이는 외교적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각주[편집]

  1. 구자정 2022, 73쪽: "전통적으로 쿠반 카자크는 ‘유르트(Yurt)’라 불리던 공유지에서 목축을 주 생업으로 생계를 영위하던 집단이었다.15) 이들이 농업을 영위하지 않던 것은 아니었으나, 사적 소유가 부재한 특유의 집산주의적 영농에 더해, 매우 장기간의 군 복무를 해야 하는 카자크의 특수한 지위는 이들이 효율적인 농부가 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으니, 정부가 쿠반 지역을 非카자크 농민의 이주를 위해 개방한 것 역시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였다"
  2. Панченко et al. 1996, 28쪽: "Скасування кріпацтва призвело до значних змін у сільському господарстві України"
  3. Панченко et al. 1996, 28쪽: "Поруч з великими землевласниками активними чинниками поступово ставали селяни, роль яких у першій половині XIX ст. принижувалась"
  4. Панченко et al. 1996, 28쪽: "Продаж землі й зростання цін особливо посилилися після заснування Селянського поземельного банку"
  5. Панченко et al. 1996, 29쪽: "Банк скуповував поміщицькі землі і перепродував їх" (은행은 지주들로부터 땅을 사들이고 이를 재판매했다)
  6. Панченко et al. 1996, 29쪽: "Кредитом Селянського банку користувалися лише заможні селяни" (은행의 융자는 땅을 가진 부유한 농노들만 이용할 수 있었다)
  7. Панченко et al. 1996, 29쪽: "Таким чином поступово формувався тип селянина-підприємця, ініціативного, заповзятливого, водночас загребущого, що ставав співтворцем нового прогресивнішого на той час господарсько-суспільного устрою" (이러한 맥락에서, 해방농노 사업가(селянина-підприємця)의 형태는 점진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고, 새로운 경제 시스템과 사회적 순환을 더욱 역동적으로 만들었다)
  8. Панченко et al. 1996, 29쪽: "Поповнювало в процесі міграції трудові ресурси міст." (도시에 노동력을 이주시키는 결과로 나타났다)
  9. 김종진 외 5인 2022, 5쪽: "우크라이나는 옥수수, 밀 등 주요 곡물 수출국이며, 세계 최대 해바라기유 수출국"
  10. "해바라기는 4월에 파 종하고 9월 중순부터 10월 중순 사이에 수확하며, 많은 농부들은 고수익 을 보장하는 해바라기를 정부에서 권장하는 윤작의 전통마저 포기하고 연속 재배하려고 한다. 그러나 해바라기는 뿌리가 깊이 내려 다른 작물 보다 토양의 수분 및 영양분을 더 많이 흡수하여 토양을 악화시킨다. 따 라서 우크라이나 정부는 토양의 지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정 규모인 1.8백만㏊∼2.0백만㏊ 정도로 해바라기 재배면적을 유지하려고 하며, 또 한 재배면적 감소와 더불어 ㏊당 생산량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해바라기 생산지역은 남부 및 동쪽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우크라이나 의 해바라기유 제조공장 역시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 헤르손, 도네츠크 오블라스티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도네츠크에 있는 해바라기 공장은 세 계 최대 곡물메이저인 카길(Cargill)이 운영하고 있다. 이들 세공장들이 우크라이나 해바라기유 총생산의 5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11. 윤준상 외 3인 2014, 128쪽: "밀은 전체 곡물 생산량의 40% 내지 50%를 차지하는 우크라이나의 대표적인 곡물로서 전 국토에 걸쳐 재배되지만, 중앙 및 중앙부 남쪽지 역이 주 생산지역이다. 주로 제빵용인경질밀을 생산하며, 가을에 씨를 파종하고 다음 해 7월 내지 8월에 추수하는 겨울밀이 밀생산량의 약 95%를 차지한다"
  12. 윤준상 외 3인 2014, 128쪽: "밀의 사료소비는 1990년도 12백만 톤에서 약 5백만 톤 이 하로 감소하였으나 식량소비는 약 10백만 톤 정도로 고정되어 있다"
  13. 김종진 외 5인 2022, 6쪽: "우크라이나산 옥수수 주요 수입국은 중국(20%)과 네덜란드(14%), 스페인(13%), 이집트(8%), 터키 (6%) 등 유럽 및 중동 국가들이며, 밀은 인도네시아(17%), 이집트(13%), 필리핀(8%), 모로코(7%), 튀니지(6%) 등 중동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됨"
  14. 윤준상 외 3인 2014, 129쪽

참고 문헌[편집]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This article "우크라이나의 농업"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우크라이나의 농업.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Read or create/edit this page in another language[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