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나무잎응애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전나무잎응애는 전나무, 일본전나무, 가문비나무, 편백나무, 향나무(1) 등에 기생하며 한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 출현하는, 전나무에 특히 치명적인 심각한 해충이다.
계 | 동물(Animalia) |
---|---|
문 | 절지동물(Arthropoda) |
강 | 거미강(Arachnida) |
목 | 진드기목(Ixodida) |
과 | 잎응애과(Tetranychidae) |
속 | 잎응애속(Tetranychus) |
종 | 전나무잎응애(Oligonychus ununguis) |
형태[편집]
- 몸길이는 암컷 470㎛, 수컷 310㎛이고, 앞몸과 다리는 주황빛이고 뒷몸은 붉은 갈색이다.(2)
- 향나무응애(Oligonychus perditus)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앞다리와 둘째다리 발목마디의 이중 센털[1]이 있는 자리 등쪽에 1개의 센털이 있어 구별된다.
피해양상[편집]
- 성충과 약충이 주로 잎 앞면에서 수액을 빨아 먹어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잎이 노랗게 변한다.
- 피해가 심해지면 잎이 마르고 조기낙엽 현상이 나타나며 침엽수는 가지가 죽고 방치할 경우에 고사에 이르게 한다.
- 응애는 덥고 건조한 기후조건을 좋아해 늦여름에 응애의 발생빈도가 높고, 응애 피해가 있을 때는 그늘에 있는 가지가 먼저 죽는다.
- 2015년 금강산 지역 병해충 실태조사 결과 전나무잎응애가 이상증상의 원인으로 파악되었다.[2]
생태 및 생활사[편집]
- 연 5~6호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3)
- 성충과 약충은 4월 하순부터 나타나고 5~6월에 밀도가 높아지지만 기후조건에 따라 다르며, 10월 하순까지 성충, 약충, 알 형태가 혼재한다.
진단방법[편집]
- 피해가 있는 가지나 잎 아래에 흰색 종이를 받치고 충격을 가해 종이 위로 떨어진 충제를 루페나 현미경을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다.(5)
방제방법[편집]
화학적 방제
- 아바멕틴. 설폭사플로르 분산 성액제를 발생초기 나무에 주사하는 방법과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를 발생초기 경엽처리를 통한 방제방법이 있다.(6)
생물적 방제
- 포식성 천적인 꽃노린재, 검정명주딱정벌레, 흑선두리먼지벌레, 납작선두리 먼지벌레 등을 보호한다.
물리적 방제
- 피해가 심한 잎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므로 연용은 하지 않으며 약제를 바꿔가며 사용한다.(5)
각주[편집]
외부링크[편집]
(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29259&cid=46691&categoryId=46691 - naver 지식백과
(2)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9421&cid=40942&categoryId=32491 - naver 지식백과
(3)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ms391839&logNo=220209814791 - naver 블로그
(5) https://blog.naver.com/ktjunjun/221849733509 - naver 블로그
(6) http://pis.rda.go.kr/registstus/agchmRegistStus/prdlstInqire.do - 농약안전정보시스템
This article "전나무잎응애"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전나무잎응애.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