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케돈 기독교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기독교 |
---|
칼케돈 기독교는 451년에 열렸던 제4차 세계공의회인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교회학적 결의를 수용하고 옹호하는 기독교의 종파이다.[1] 칼케돈 기독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한 위격 안의 두 본성(신성과 인성)의 결합에 따라서, 그가 완전한 하나님이시자 완전한 인간이라 인정하는 기독교 교리와 관한 칼케돈의 기독론적 정의를 수용한다.[2][3] 칼케돈 기독교도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대한 칼케돈의 확인을 수용하여, 칼케돈주의가 니케아 기독교에 헌신했음을 인정했다.[4][5]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의에 대한 그들의 명확한 태도와 관하여 기독교 교파(역사적과 현대적인 교파 모두)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칼케돈 –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의를 받아들이는 교파.
- 준칼케돈 – 칼케돈 신학적 결의의 수용이 부분적 또는 조건부인 교파.[6]
- 비칼케돈 – 칼케돈 공의회의 신학적 결의를 거부하는 교파.
오늘날, 칼케돈 기독교는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개신교 교파를 아우르는 반면, 비칼케돈 기독교 또는 합성론 기독교는 오리엔트 정교회를 아우른다.
역사[편집]
칼케돈 공의회 동안 제기된 교조적인 논쟁은 칼케돈 분열로 이어졌고, 따라서 오리엔트 정교회로 알려진 교회들의 비칼케돈 조직이 형성되었다. 칼케돈 교회들은 로마의 성좌, 콘스탄티노폴리스(또는 새 로마)의 세계 총대주교청과 중동의 동방 정교회 총대주교청(즉,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와 예루살렘)과 결속하여 유지되었다. 이 다섯 명의 총대주교는 함께 정통 가톨릭 기독교와 칼케돈 신앙고백의 기둥으로 여겨졌다. 6세기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치세 동안, 다섯 총대주교좌는 제국의 기독교 교회의 공식적인 교회 권한을 가진 펜타르키로 인정되었다.
칼케돈 전의 기독교는 주로 바울을 토대로 했다. 텔라의 요한은 칼케돈 전의 기독교의 토대를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다.
And [the council of Nicaea] considered and saw widely where it set up its building; and the divine Paul, wise among spiritual master-builders, invoked them, and showed them the true foundation, a rock that can not be shaken; on it they will place and build their building; and those he spoke before them when he was saying: Another foundation except for you this you should not constitute, this is Jesus Christ; it was on this that Simeon built and John; on it that Thomas completed [his mission] in Cush. And in Egypt Mark built upon it, and Addai the house of the Medians, Persians and Parthians. And it was on this that the apostle Matthew built in Palestine, and Jacob, the brother of our Lord.
그는 이 토대가 칼케돈에 버려졌다고 믿었다: "칼케돈 공의회는 하나님의 뛰어난 건축가인 바울로가 세운 토대가 아니라, 분명치 않고 폐해진 네스토리우스가 놓은 모래에 만들어졌다."[7]
오늘날, 기독교 교파의 대부분은 칼케돈 기독교에 찬성한 펜타르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크게 라틴어를 사용하는 서방의 로마 가톨릭교회,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동방의 동방 정교회, 종교 개혁의 여파로 만들어진 개신교로 나뉜다.
칼케돈의 기독론적 정의를 거부한 집단은 아르메니아 교회의 다수, 콥트 교회 , 에티오피아 교회였으며, 인도 교회의 일부와 시리아 기독교회(이들 중 후자는 자코비테인으로 확인됨)를 포함한다. 오늘날, 이러한 단체들은 일괄되어 비칼케돈 교회, 합성론파, 또는 오리엔탈 정교회라고 알려져 있다.
특히 동로마 제국 내부의 카파도키아와 트레비존드 지역의 일부 아르메니아 기독교인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반대하는 논쟁을 벌였다.[8]
After the conclusion of Byzantine-Sasanian War of 572–591, direct rule of the Byzantine Empire was extended to all western parts of Armenia, and Emperor Maurice (582–602) soon decided to strengthen his political control over the entire region by supporting the local pro-Chalcedonian faction of the Armenian Church. In 593, a regional council of western Armenian bishops was convened in the city of Theodosiopolis, and proclaimed allegiance to the Chalcedonian Definition.
The council also elected John (Yohannes, or Hovhannes) of Bagaran as the new Catholicos of the Chalcedonian Armenians.[9]
칼케돈 기독론[편집]
Those present at the Council of Chalcedon accepted Trinitarianism and the concept of hypostatic union, and rejected Arianism, Modalism, and Ebionism as heresies (which had also been rejected at the First Council of Nicaea in AD 325). Those present at the council also rejected the Christological doctrines of the Nestorians, Eutychians, and monophysites (these doctrines had also been rejected at the First Council of Ephesus in 431).
The Chalcedonian understanding of how the divine and human relate in Jesus Christ is that the humanity and divinity are exemplified as two natures and that the one hypostasis of the Logos perfectly subsists in these two natures. The Non-Chalcedonians hold the position of miaphysitism (sometimes called monophysitism by their opponents). Miaphysitism holds that in the one person of Jesus Christ, divinity and humanity are united in one nature, the two being united without separation, without confusion and without alteration. That led many members of the two churches to condemn each other: the Chalcedonians condemning the Non-Chalcedonians as Eutychian Monophysites, and the Non-Chalcedonians condemning the Chalcedonians as Nestorians.[10]
Later interpreters of the council held that Chalcedonian Christology also rejected monothelitism and monoenergism (rejected at the Third Council of Constantinople in 680). Those who did not accept the Chalcedonian Christology now call themselves non-Chalcedonian. Historically, they called themselves Miaphysites or Cyrillians (after St Cyril of Alexandria, whose writing On the Unity of Christ was adopted by them and taken as their standard) and were called by Orthodox Christians monophysites. Those who held to the non-Chalcedonian Christologies called the doctrine of Chalcedon dyophysitism. In turn,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be Orthodox Christians and called the Chalcedonians, Nestorians.
기독교의 교파
| ||||||||
---|---|---|---|---|---|---|---|---|
┏━━━━ 비삼위일체파·회복주의 ┃ ┣━━━━ 개신교 ┃ 종교개혁 ┣━━━━ 성공회 (16세기)↘┃ 초기 교회 대분열 ┏━━━━┳━┻━━━━ (서방 전례) 기독교 (11세기)↘┃ ┃←"일치" 가톨릭교회 ━━━━━┳┳━━━━━━━━┫ ┣━━━━━━ (동방 전례) 에페소스↗┃┃↖칼케돈공의회 ┃ ┃ 공의회 ┃┃ (451) ┗━━━━┻━━━━━━ 동방 정교회 (431)┃┃ ┃┗━━━━━━━━━━━━━━━━━━━━ 오리엔트 정교회 ┃ ┗━━━━━━━━━━━━━━━━━━━━━ 아시리아 동방교회
|
각주[편집]
- ↑ Meyendorff 1989, 165-206쪽.
- ↑ Grillmeier 1975, 543-550쪽.
- ↑ Meyendorff 1989, 167-178쪽.
- ↑ Meyendorff 1989, 171-172쪽.
- ↑ Kelly 2006, 296-331쪽.
- ↑ Kharlamov 2009, 66쪽.
- ↑ Menze 2008, 91-92쪽.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Meyendorff 1989, 108-109, 284, 343쪽.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자료[편집]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스크립트 오류: "Portal bar" 모듈이 없습니다.
This article "칼케돈 기독교"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칼케돈 기독교.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This page exists already on Wikip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