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 이방원의 등장인물
EverybodyWiki Bios & Wiki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이 문서는 대한민국의 KBS 1TV 대하드라마 《태종 이방원》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목록이다.
(†) 표시는 드라마 상에서 최종적으로 사망한 인물이다.
주요 인물[편집]
-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조선 500년의 기틀을 닦은 조선의 제 3대 국왕.
- 변방의 무장에서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왕조를 개국한 조선의 초대 국왕.
- 진취적이고 정열적인 여장부로 방원을 왕으로 만든 실질적 킹메이커이자 조선의 제 3대 왕비.
- 타고난 정치 감각과 과감한 결단력을 가진 조선의 첫번째 왕비.
전주 이씨 가문 사람들[편집]
신의왕후 소생과 그 가족[편집]
- 엄효섭: 진안대군 이방우 역 - 무인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학자풍의 풍모를 가진 이성계의 맏아들
- 김명수: 정종 이방과 역 - 이성계의 둘째 아들로, 영안대군으로 책봉되었으며, 후일 조선의 제2대 국왕으로 즉위한다.
- 홍경인[lower-alpha 1]: 익안대군 이방의 역 - 이성계와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셋째 아들
- 조순창: 회안대군 이방간 역 -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아들
- 예수정[lower-alpha 2]: 신의왕후 한씨 역 †(6회) - 이성계의 향처로 방우, 방과, 방의, 방간, 방원 다섯 형제의 어머니.
- 미상: 경신공주 역(아역: 김채린[1]) - 이성계의 첫째 딸
- 미상: 경선공주 역(아역: 천지원[2]) - 이성계의 둘째 딸
- 김서연: 정안왕후 김씨 역 - 이방과의 처이자 조선의 첫 왕대비[3]
신덕왕후 소생과 그 가족[편집]
- 김진성: 의안대군 이방석 역(아역: 장재하) - 이성계와 신덕왕후 강씨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아들
- 오승준[lower-alpha 3]: 무안대군 이방번 역(아역: 홍동영) - 이성계와 신덕왕후 강씨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
- 이하은: 현빈 류씨 역 - 방석의 부인으로 훗날 내시 이만과 간통사건을 일으키게 된다.
- 최다혜: 경순공주 역 - 이성계의 셋째 딸
- 장태훈: 이제 역 - 이성계의 셋째 딸이자 신덕왕후 강씨의 소생인 경순공주의 남편
이방원과 원경왕후 소생[편집]
- 김민기 : 충녕대군 이도 역 - 이방원의 셋째 아들로 1418년 이방원이 충녕대군에게 양위할때 옥새를 받아 왕이 되었다.
- 미상: 정순공주 역(아역: 임예진[5]) - 이방원의 첫째 딸
- 미상: 경정공주 역(아역: 박수언) - 이방원의 둘째 딸
이성계의 형제[편집]
- 이원발[lower-alpha 4]: 의안대군 이화 역 - 이방원을 지지한 가문의 원로
청해이씨[편집]
조선[편집]
관료[편집]
이성계 계열[편집]
- 이광기[lower-alpha 5]: 정도전 역 - 이성계와 손을 잡고 조선을 건국한 혁명가
- 이기열[lower-alpha 6]: 남은 역 - 고려 말 문신
- 박유승[lower-alpha 7]: 윤소종 역 - 고려 말 문신
- 이우석: 박위 역 - 이성계의 가신
이방원 계열[편집]
- 남성진: 하륜 역 - 역사, 문학, 철학 외에도 관상•풍수에도 해박한 다재다능한 인물.
- 김법래: 조영무 역 - 원칙과 소신을 지키며 살았고 죽는 순간까지 태종에게 충성했던 베테랑 행동대장
- 김건: 조영규 역 - 정몽주를 직접 격살한 인물
- 노영국[lower-alpha 8]: 조준 역 - 여말선초의 학자이자 이론가, 특히 토지제도의 전문가이다.
- 김영기[lower-alpha 9]: 권근 역 - 당대의 천재이자 외교 수완가
- 박칠용[lower-alpha 10]: 남재 역
- 정태우[lower-alpha 11]: 이숙번 역 - 이방원의 가신
기타 관료[편집]
- 안홍진[lower-alpha 12]: 박포 역 - 제2차 왕자의 난 동안 회안대군의 가신
원경왕후의 가족[편집]
- 김규철: 민제 역 - 원경왕후 민씨의 아버지, 태종 이방원의 장인이다.
- 이응경: 송씨 역 - 민제의 처이자 원경왕후 민씨의 어머니
- 김태한: 민무구 역 - 원경왕후의 동생, 민제 집안의 맏아들이다.
- 노상보: 민무질 역 - 원경왕후의 동생, 형에 비해 무척 다혈질이다.
고려[편집]
왕실[편집]
- 임지규: 우왕 역 †(4회) - 고려의 32대 왕
- 기은유: 창왕 역 †(4회) - 고려의 33대 왕
- 박형준: 공양왕 역 - 고려 최후의 임금
- 강현욱: 세자 역 - 공양왕의 아들
- 김보미: 정비 안씨 역 - 공민왕의 왕비로 우왕, 창왕, 공양왕까지 왕의 폐위 교서를 세 번이나 내렸으며 마지막으로 이성계에게 옥세를 넘겨주면서 고려의 막을 내리는 비운의 여인
- 미상: 근비 이씨 역 - 2회에서 갓 즉위한 창왕을 걱정스럽게 보는 장면으로 첫 등장했으며 3회에서 우왕의 이성계 암살 실패 후 창왕에게 화가 미칠 것을 염려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관료[편집]
- 최종환: 정몽주 역 †(8회) - 마지막으로 남은 고려의 충신이자 학자
- 남명렬: 이색 역 - 고려 말의 대학자이자 충신
- 강봉성: 김진양 역 - 고려 관료
- 김진국: 정몽주파 대신 역
무장[편집]
- 송용태[lower-alpha 13]: 최영 역 †(2회) - 고려의 충신이자 장군
- 박상조[lower-alpha 14]: 조민수 역 -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을 이끈 무장, 회군 후 정치투쟁에서 이성계한테 밀리며 유배를 당해 그곳에서 죽는다.
- 임병기: 변안렬 역 - 고려 말 무신
- 최은석[lower-alpha 15]: 김저 역 - 우왕의 가신으로 우왕 복위사건을 일으키다가 발각되어 고문을 당하고 죽는다.
- 조수혁: 정득후 역 - 우왕의 가신으로 우왕 복위사건을 일으키다가 자결한다.
- 최영: 곽충보 역 - 고려 관료
- 이창: 최유경 역 - 고려 관료
- 조상기: 고려 군관 역 †(2회) - 위화도 회군 소식을 듣고 이방원을 수배하고, 포천에서 이방원을 찾아 칼을 휘두르지만 이성계의 부인 강씨에게 칼이 찔려 분노하여 강씨의 목을 조르지만 이방원한테 칼을 맞아 살해당한다.
그 외 인물[편집]
- 박여름: 유모 역
- 최시인: 기생 역
- 이춘식: 김 내관 역[lower-alpha 16] - 태조와 태종을 모신 내관
- 임호[lower-alpha 17]
각주[편집]
비고[편집]
- ↑ 홍경인이 OCN 토일드라마 《보이스 2》 이후 3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원래 신의왕후 역은 이덕희를 캐스팅하기로 계획했으나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써 《비밀의 숲》에 이어 엄효섭과 다시 한번 모자관계를 연기한다.
- ↑ 《마이 스윗 디어》에서는 고재훈 역을 맡았다.[4]
- ↑ 이원발이 KBS 드라마 스페셜 《엄마의 세번째 결혼》 이후 3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이광기가 KBS 1TV 대하드라마 《징비록》, 영화 《나홀로 휴가》 이후 6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이기열이 SBS 시트콤 《초인가족 2017》 이후 4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박유승이 KBS 2TV TV소설 《파도야 파도야》 이후 3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노영국이 KBS 2TV 월화드라마 《우리집에 사는 남자》 이후 5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김영기가 KBS 2TV 저녁일일드라마 《다시, 첫사랑》 이후 5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박칠용이 KBS 1TV 대하드라마 《징비록》 이후 6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정태우가 tvN 수목드라마 《크리미날 마인드》 이후 4년 만에 안방극장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안홍진이 KBS 2TV 아침드라마 《차달래 부인의 사랑》, 영화 《선종 무문관》 이후 3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송용태가 OCN 수목드라마 《손 the guest》 이후 3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박상조가 KBS 대하드라마 《대왕 세종》 이후 13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최은석이 KBS 2TV TV소설 《그 여자의 바다》, 영화 《협상》 이후 4년 만에 연기에 복귀하는 작품이 되었다.
- ↑ 이전 문서에선 노희봉 역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다큐멘터리 3일》에서는 배역명이 김 내관으로 명시되어있다.
- ↑ 맡은 배역은 미정이지만 엔딩 크레딧에서 이름이 등장함.
This article "태종 이방원의 등장인물"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태종 이방원의 등장인물.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