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28일 민주노총 총파업
2013년 12월 28일 민주노총 총파업 | |||
---|---|---|---|
![]() 서울광장에 운집한 시위 군중. 민노총측 추산 10만명, 경찰 추산 2만 5천 명이 시위에 동참했다. | |||
날짜 | 2013년 12월 28일 | ||
지역 | 스크립트 오류: "br separated entries" 모듈이 없습니다. | ||
원인 | 2013년 한국철도공사 노조 파업의 강경진압 | ||
종류 | 항의, 시위, 파업 | ||
상태 | 평화적 해산 | ||
시위 당사자 | |||
| |||
참여 인원 | |||
|
2013년 12월 28일 민주노총 총파업은 2013년 12월 28일에 벌어진 민주노총의 총파업이다.
배경[편집]
2013년 12월 22일 경찰이 민주노총 건물에 진입하여 2013년 한국철도공사 노조 파업을 강경진압하려 하자 민주노총은 이에 반발하여 총파업 집회를 열기로 결정하고 총파업 날짜는 2013년 12월 28일 토요일로 결정하였다.
경과 및 후속 파업[편집]
2013년 12월 28일 토요일 민주노총은 서울광장에서 약 10만명이 모인 가운데 총파업 집회를 가졌다. 한편 일부 참가자들은 세종대로 등 일부 도로를 점거하려다 경찰과 대치하기도 했고 이 과정에서 체포영장이 발부된 철도노조원 1명이 검거되기도 했으나, 충돌 없이 오후 7시 30분쯤 자진 해산했다. [4] 이후 민주노총은 후속 파업을 2014년 1월 9일과 1월 18일에 실시하였다. 3차 총파업은 1월 16일 실시 예정이었으나 18일로 변경하였다. [5] [6] 2014년 2월 25일에는 국민총파업이라는 이름으로 총파업 집회를 벌여 박근혜 정부 퇴진 운동을 벌였다. [7]
각주[편집]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스크립트 오류: "citation/CS1" 모듈이 없습니다.
- ↑ 민주노총 총파업 집회, 큰 충돌 없이 해산…철도노조 수배자 1명 검거(종합) (서울신문, 2013년 12월 28일)
- ↑ 민주노총 2차 총파업 결의대회…"민영화 맞설 것"(종합2보)(연합뉴스, 2014년 1월 9일)
- ↑ 민주노총, "3차 총파업 결의대회 오는 18일로 변경"(세계일보, 2014년 1월 7일)
- ↑ '민주노총 국민 총파업' 선포··오늘 전국 12곳서 집회 (세계일보 2014년 2월 25일)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fullurl:Commons:모듈:WikidataIB 474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index field 'wikibase' (a nil value).|uselang=ko}} 2013년 12월 28일 민주노총 총파업] |
![]() |
이 토막글 틀의 변수는 잘못 사용되었습니다. 알맞은 변수를 토막글 모음에서 골라 사용해 주세요. |
package.lua 80번째 줄에서 Lua 오류: module 'Module:Namespace detect/data' not found.
This article "2013년 12월 28일 민주노총 총파업" is from Wikipedia. The list of its authors can be seen in its historical and/or the page Edithistory:2013년 12월 28일 민주노총 총파업. Articles copied from Draft Namespace on Wikipedia could be seen on the Draft Namespace of Wikipedia and not main one.
![]() |
This page exists already on Wikipedia. |